세션만료알림

후 자동 로그아웃됩니다.
세션을 초기화하시겠습니까?

본문으로 바로가기 본문으로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우수활용사례

우수활용사례

우수활용사례들을 제공합니다.

전체 5 현재페이지 1/1

  • DataON 데이터 활용 분석사례 소개

    이 프로젝트는 2022년 연구데이터 분석활용 경진대회에서 최우수상을 수상한 작품이며, 전체적인 프로젝트 내용에 대한 소개 자료 및 설명 영상입니다. (영문버전)
    등록일2023-04-12 조회수3138
  • 제3회 연구데이터 분석활용 경진대회 수상자 소감 및 수상작

    제3회 연구데이터 분석활용 경진대회가 6.2(목) ~ 9.22(목)까지 진행되었다.이번 대회는 예년과 달리 모든 분석과정을 DataON 환경에서 진행하였다.그만큼 DataON의 분석환경이 안정화 되었다는 뜻이다.이번 대회를 치르면서 분석환경이 사용자에게 불편했던 부분들을 개선하는 계기가 되었다.이번 대회의 최종발표 평가는 대전 이스포츠 경기장에서 진행되었는데, 참가자들 모두와 많은 관심 있는 분들이 참석하여성황을 이루었다.최종발표 평가를 통하여 회를 거듭할 수록 참가자들의 수준이 많이 향상되었고, 특히 분석결과의 수준이 높아졌다는 평가를받았다.최우수상은 CS-AI(숭실대 이명훈)팀이 수상하며,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상과 상금 500만원 받았다.자세한 수상자는 아래 표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수상자 및 분석 결과□  수상자 소감 영상
    등록일2023-04-12 조회수348
  • 제1회 연구데이터·AI 분석활용 경진대회 수상작

    2020년 제1회 연구데이터·AI 분석활용 경진대회가 9.8(화)부터 11.25(수)까지 진행되었습니다.  대회에는 일반적인 연구데이터의 분석·활용 사례를 보여주는 연구데이터 부문에 25개팀, 기계학습이 가능한 데이터셋을 기반으로 최적 성능을 보이는 인공지능 모델을 개발하는 인공지능 부문에 20개팀이 출전하여 심사는 1차 서류평가와 2차 공개 발표평가 과정을 거쳤습니다. 연구데이터 부문에서는 '강수량 예측을 위한 시계열 관측 통합 데이터 프로젝트'를 진행한 'SIAin'팀이 최우수상(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상)을 수상했다. 우수상은 '우리는-attacker-너희들은-vic'팀과 '황보동욱'팀이 받았다. 이아름 서울대 학생(개인 출전)과 한남데 지질자원 빅데이터 연구팀은 장려상을 수상했다.AI 부문에서는 '한글임베딩과 딥러닝을 활용한 논문 문장 의미 태깅 모델 구현'에 나선 'WHooKS'팀이 최우수상을 받았고, '에이플러스'와 'LAB'팀은 우수상을 받았으며, 손민욱 충남대 학생(개인 출전)과 'ICES'팀이 장려상을 수상했다.이번 행사는 주관기관인 KISTI의 가상머신(VM) 환경 제공으로 진행되었다. 데이터는 DataON 또는 개인 보유 연구데이터를 사용하도록 했다. 
    등록일2023-04-12 조회수218
  • 제2회 연구데이터·AI 분석활용 경진대회 수상자 및 수상 소감

       [2021 연구데이터·AI 분석활용 경진대회 인터뷰]2021년 2회를 맞는 연구데이터·AI 분석활용 경진대회는 DataON 또는 개인 보유 연구데이터를 사용한 분석·활용 사례 발굴 및 인공지능 모델 개발을 주제로 진행되었습니다.  대회에는 일반적인 연구데이터의 분석·활용 사례를 보여주는 연구데이터 부문에 31개팀, 기계학습이 가능한 데이터셋을 기반으로 최적 성능을 보이는 인공지능 모델을 개발하는 인공지능 부문에 34개팀이 출전하여 심사는 1차 서류평가와 2차 공개 발표평가 과정을 거쳤습니다. 2021년 12월 2일에 열린 시상식에는 최우수상(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상과 200만원) 2팀, 우수상(국가과학기술연구회이사장상과 150만원) 4팀, 장려상(KISTI 원장상과 100만원) 3팀이 수상하였습니다. 연구데이터 부문 최우수상은 충북대 NetDB(유재수, 최도진, 오영호, 편도웅)팀, 인공지능 부문 최우수상은 건국대 1007팀(이예진, 한미래)이 차지하였습니다. 수상자들의 인터뷰 영상을 공개합니다. *관련글 - 2021년 경진대회 개최 및 일정 바로가기 - 2021년 경진대회 시상식 바로가기
    등록일2022-05-11 조회수439
  • [뉴스기사] 내 지역의 지질암석은?∙∙∙공룡시대부터 '땅데이터' 다 있다!

    [인터뷰] 한종규 지질자원연 지질자원데이터센터장지오데이터 플랫폼, 데이터셋 2787건∙문헌 13만건 보유KISTI와 데이터 의기투합∙∙∙"오픈 사이언스 생태계 구축되길"한종규 지질자원연 지질자원데이터센터장과 지오빅데이터 오픈플랫폼 속 지질도. [사진=이유진 기자]내가 살고 있는 지역의 지질 암석이 어떤지 한눈에 볼 수 있는 플랫폼이 있다. 한국지질자원연구원의 '지오빅데이터 오픈플랫폼(이하 지오데이터 플랫폼)'이다. 지질자원연이 100여년 전부터 축적한 지질자원 데이터로서 총 데이터셋 2787건, 문헌 13만1904건, 지질자원주제도 123건이 들어있다. 모두 연구원들이 직접 산과 바다를 뛰어다니며 발굴해낸 데이터다. 국민 모두에게 열려있어 누구든지 자유롭게 무료 사용 가능하다.지오데이터 플랫폼의 가장 대표적인 데이터는 바로 '지질도'다. 지질도란 일정한 범위, 즉 지역에 해당되는 암석 종류와 분포, 층서, 지질연대, 광상, 고생물 등의 지질정보들을 총망라해 표시한 지도다. 대한민국의 지질도는 1924년 일본군에 의해 만들어진 조선지질도에서 시작되며, 이후 1956년 순수 국내 학자들이 개척한 대한지질도가 있다.해당 지질도들은 모두 지질자원연이 소장 중이다. 하지만 굳이 연구원을 가지 않아도, 지오데이터 플랫폼을 통해 보고 체험할 수 있다. 지오빅데이터 플랫폼의 가장 큰 장점이라고 할 수 있다.한종규 지오플랫폼연구본부 지질자원데이터센터장은 "지오데이터 플랫폼은 디지털 연구자료 검색∙다운로드 서비스와 응용시스템에 활용할 수 있는 '오픈 API 서비스', 논문 검색 서비스 등을 제공한다"며 "모든 시민들에게 열려 있는 대국민 서비스라는 데 의미가 있다"고 말했다.◆ 지오데이터 플랫폼, 그게 뭔데?지오빅데이터 오픈플랫폼(https://data.kigam.re.kr/) 메인 화면. [사진=지질자원연]지오데이터 플랫폼에 대해 알아보자. 우선 지질도다. 지오데이터 플랫폼에 접속해 지질도를 누르면 대한민국 지형도 위에 지질도가 오버랩된다. 여기서 원하는 장소를 검색, 지질도가 확대되며 해당 지질의 시대, 도포, 지층, 대표 암상 등이 나온다. 공유 또는 인쇄도 가능하다.'좋은 물 지도' 서비스도 있다. 좋은 물이란 사람이 그대로 마실 수 있을 만큼의 깨끗한 물 또는 성질이 특이해 어떠한 목적으로의 이용이 적합한 자연 그대로의 물을 의미한다. 지질자원연 연구진이 현장 조사, 수질 분석, 문헌 조사 등을 통해 2017년부터 2020년까지 수집한 데이터다. 전국 좋은 물원 877개소의 데이터를 확인해볼 수 있다.육지를 넘어 해저 데이터 또한 보유하고 있다. 해저에 있는 지형의 기복을 등심선에 나타낸 해저지형도다. 등심선을 포함해 배가 지나간 길인 탐사항적도도 표시된다. 해저지질을 이루고 있는 암석 등의 성질도 알 수 있어 해상풍력단지 건설 시에도 사용된다.지질자원연하면 빠질 수 없는 게 바로 화석과 암석이다. 지오데이터 플랫폼엔 화석과 암석의 데이터 자료도 포함돼 있다. 화석에 대한 시료설명, 보존장소 등을 확인할 수 있으며 암석의 경우 2D와 더불어 3D 모델링을 통해 360도로 관찰할 수 있다.이같은 데이터들은 KISTI(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와의 협력을 통해 KISTI 국가 연구데이터 플랫폼 'DataON'을 통해서도 확인할 수 있다.한 센터장은 "지오데이터 플랫폼 속 데이터들은 매장 문화재 발굴, 철도∙도로 건설, 지하자원 개발, 지진연구, 활성 단층 연구 등에 활용된다"며 "특히 수치지질도의 경우 지하수 관리계획 수립, 석조문화재 연구, 발전소 주변 지질 현황 조사뿐만 아니라 교육용 기초자료로도 유용하게 쓰이고 있다"고 설명했다.이어 "작년부터 지질자원 전공 대학생들로 이루어진 지오데이터 플랫폼 모니터링단을 운영, 꾸준한 플랫폼 개선에 힘쓰고 있다. 모니터링단의 경우 상당히 적극적이어서, 오는 4월 2기를 모집하려 한다"고 덧붙였다.◆ KISTI와 데이터 의기투합∙∙∙"데이터 공유∙활용 문화 중요"한종규 지질자원연 지질자원데이터센터장은 “오픈 사이언스 생태계가 잘 구축됐으면 한다”고 희망했다. [사진=이유진 기자]이같은 대국민 서비스를 지원하는 지질자원데이터센터도 그간 구축되는데 있어 우여곡절이 많았다. 데이터 기반의 연구가 80% 이상인 연구원 특성상 개인 또는 집단이 구축한 데이터를 한곳에 모은다는 게 쉽지만은 않았기 때문이다. 센터 구축이 몇 번이나 엎어졌던 이유다.그렇게 센터는 필요성이 언급된 지 10여년 이상이 지난 2018년 구축됐다. 한 센터장은 "그간 데이터가 개인이 소유하고 있었기에 대부분 과제가 끝나면 데이터가 각각 파편화됐었다"며 "연구사업 자체가 국민 세금으로 이뤄지는 만큼 데이터를 한곳에 모아 연구원, 나아가 국민들에게 도움이 되고자 센터를 개소했다"고 밝혔다.현재는 주요사업 안에 데이터의 생산방법, 목록 등을 적시하는 규정이 새로 생겼다. 창의과제 혹은 데이터 생산과 연관 없는 사업들을 제외하곤 연구원 내 100%가 의무적으로 생산한 데이터를 지질자원데이터 리포지토리(GDR)에 저장하고 있다. GDR은 KISTI가 개발한 데이터관리 공유 플랫폼 'DATANEXT' 시스템을 무상 기술이전 받아 개발된 프로그램이다.지질자원데이터센터는 아직도 할 임무가 많이 남아있다. 지속적인 데이터 서비스 개선은 물론, 연구데이터를 공개하는 연구원들을 위한 성과 인정과 작년에 이은 데이터경진대회 개최, KISTI KRDC 협력, 데이터 국제학회 'IDW2022' 공동개최 협력 등이다. 더불어 일반인들의 데이터 수요 조사를 통해 그들이 원하는 데이터를 구축, 가공한다는 계획이다.한 센터장은 "연구데이터 오픈이 개인의 성과로 인정될 수 있게끔 인용통계 집계 시스템을 KISTI와 협력 개발하기로 했다"며 "특히 KISTI와는 연구데이터와 컴퓨터 리소스를 연계하는 KRDC 구축도 협력 예정이다. 또 한국항공우주연구원, 극지연구소 등 5개 기관과 함께 만든 데이터 저널을 기반으로 하는 KISTI 융합 클러스터 과제에도 참여 중"이라고 밝혔다.그는 "이러한 지질 데이터를 제고하는 기관은 국내에 지질자원연 밖에 없다. 데이터 기반의 연구시대가 도래한 만큼 데이터를 공유, 활용하는 문화가 활성화돼 오픈 사이언스 생태계가 잘 구축됐으면 한다"고 강조했다. 이유진 기자 lyj.5575@hellodd.com출처: https://www.hellodd.com/news/articleView.html?idxno=95768
    등록일2022-02-05 조회수124
    
  • 1